레이오버와 스탑오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우리는 여행을할때 어느 지역을 경유해 가곤한다. 경유하는 비행기는 가격이 쌀 뿐더러 시간이 허락한다면 한곳을 더 관광할수 있다는 장접이 있기 때문이다. 오늘은 항공용어중 레이오버 (Layover) 와 스탑오버 (Stopover) 에 대해 차이점을 알아 보고자 한다. 또한, 환승 (Transfer) 와 경유 (Transit) 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자. 간단히 설명하자면 레이오버는 경유시 24시간 미만 체류하는것을 말하고 24시간 이상일경우 스탑오버라고 한다.

[..]

공인 인증서란 무엇인가?

공인 인증서란 인터넷 전자거래를 안심하고 사용할수 있도록 인증해주는 사이버 증명서로 오프라인의 인감증명서와 비슷한 역활을 한다. 인터넷 뱅킹, 전자상 거래등 온라인 서비스에 보안이 필요한 서비스에 전자 공인 인증서를 이용하여 본인을 인증하고 업무를 안심하고 사용할수 있도록 해주는 인증서 이다. 공인 인증서를 통해 문서의 위조나 변조를 예방하며 정부의 철저한 심사 결차를 걸친 공인 인증기관에서만 발급되고 법적 효력과 안정성을 보장한다.

[..]

리얼 아이디 (Real ID)

오는 2023년 5월 3일부터 본격적인 효력이 발생하는 리얼 아이디 (Real ID) 운전 면허증은 미국내에서 사용하는 신분증으로 50개주 모든주에서 인정을 해주는 신분증이다. 이전까지만 해도 각 주에서 발행한 운전 면허증으로 미국내 어느주에 가서든 신분증으로 이용할수 있었지만 오는 2023년 5월 3일 부터는 이것이 달라진다. 앞으로 운전 면허증을 갱신할 경우 Real ID 운전 면허증을 취득하거나 Federal Non-compliant 운전면허증을 취득할수 있다. Real ID 를 만든다면 50개 모든주에서 사용할수 있는 신분증으로 이용할수 있겠지만 Federal Non-complioant 운전 면허증을 취득한다면 발행한 주외에서는 국가에서 발행한 패스포트 (Passport Card 또는 Passport Book) 를 ID 로 이용해야 한다. 큰 예로, 2023년 5월3일 부터는 공항에서 비행기를 타려면 Real ID 또는 Passport 를 이용해야 한다.

[..]

항공편 예약 등급 (가격 등급)

같은 비행기 옆좌석에 앉은 사람이라 할지라도 항공편 구입 가격은 제각기 다르다. 항공권 Fare Class (또는 예약 등급)은 이 티켓이나 보딩 패스를 보면 확인할수 있고 간단히 이야기 하자면 항공권 등급이다. 같은 일반석이라 할지라도 예약 등급은 10여개 이상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각 구입 날짜나 구입 통로에 따라 각기 다른 액수를 내고 구입한다. 우선 국제선 항공권은 대부분 3개의 좌석 등급으로 일등석 (First Class), 프레스티지 (Prestige Class) 그리고 일반석 (Economy Class) 으로 나뉘어져 있다. 각 좌석등급에는 여러개의 가격등급 (또는 예약등급)으로 나뉘어져 있다. 가격등급은 영문 1자리 레터로 표기 되며 보통 Fare Class (또는 Booking Class) 라고도 부르며 보딩패스를 보면 쉽게 구분이 된다.

[..]

대한항공 스카이패스 개악 개편 소식

대한 항공에서는 2019년 12월 13일자 뉴스를 통해 스카이패스 마일리지 적립률과 공제량 개편을 2021년 4월에 실행한다고 공지 했다. 대한항공은 합리적인 개편이라고 설명하지만 대부분의 소비자는 현재 실행중인 마일리지 적립률과 공제량에 비해 월등히 불리해진 개편안에 대해 실망과 불만이 거세다. 대한 항공 측에서는 그동안 타 항공사에 비해 후하게 제공했던 마일리지 플랜을 타 항공사와 비슷한 수준으로 실행한다고 설명한다. 

[..]

엑스트라 헬프 (Medicare Extra Help)

메디케어 처방약 보조 프로그램으로 메디케어 파트 D의 보험료, 디덕터블과 코페이를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인컴과 자산에 따라 SSA 에서 보조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이 혜택을 받게 되면 본인 부담금인 코페이가 제네릭 약품은 $3.40, 브랜드 약품은 $8.50를 넘지 않게 된다.(2019년 기준) 엑스트라 헬프 보조를 받기 위해서는 메디케어 파트 A나 B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며, 인컴과 자산이 일정 기준 미만 이어야 한다.

[..]

메디케어 세이빙스 프로그램 (Medicare Savings Program)

메디케어 비용 보조 프로그램으로 파트 A와 B의 보험료와 디덕터블, 코인슈런스, 코페이를 주정부에서 보조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주마다 이 프로그램의 이름과 운영 방식은 다를 수 있다). 이 보조 프로그램을 받기위해서는 메디케어 파트 A에 가입되어 있어야 하며 제한된 인컴과 자산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메디케어 40 크레딧이란 무엇인가?

시니어가 65세가 되면 메디케어를 신청할수 있다. 연방정부 차원에서 지원하는 메디케어 파트 A를 무료서비스 받는 조건은 40 크레딧이다. 파트 A는 병원과 입원 보험이라 할수 있고 가지고 있는 크레딧에 따라 무료 서비스나 유료 서비스로 구분된다.

[..]

메디케어 (Medicare) 란 무엇인가?

메디케어는 연방정부에서 65세 이상의 시니어들에게 주는 의료혜택이다. 65세가 되는 달과 전, 후 3개월 총 7개월 동안에 가입할 수 있는 기간이 열리고 이 기간을 놓치게 되어 나중에 가입하게 되면 패널티가 발생한다.(단 직장보험이 있는 경우는 제외)

메디케어는 Part A, Part B, Part D로 구분된다.

[..]